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기사 바로가기

칼럼

글로벌인재를 위하여

우리 사회의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변화와 아울러 다문화가정 자녀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선 학교에 재학 중인 국제결혼가정의 자녀가 꾸준하게 증가하여 전체 학생수의 2%를 넘어섰다.

현재 다문화적 배경을 지닌 미취학 아동이 60% 수준임을 감안하면 학령기에 진입한 아동에 대한 지원확대와 사춘기에 접어드는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심리·정서적인 지원에 대한 고민도 깊이 있게 하여야 할 것이다.

지난 3월 여성가족부 보도자료에 의하면 다문화가족 자녀(만 18세 이하)는 2006년 2만 5000여 명에서 2015년 20만 8000명으로 약 8배 증가하였으며, 다문화 학생의 학업중단율은 1.01%로 전체 학생의 학업중단율 0.83%에 비해 높은 수준(2015 교육기본통계, 교육부)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이 가능한 만 15세 이상 24세 이하 다문화가족 자녀 중 57.8%는 학생이나, 5명 중 1명은 학업이나 취업, 직업훈련 등 어느 것도 하는 일 없는 니트(NEET) 상태로 지원 대책 필요하며, 특히, 니트(NEET) 상태에 있는 중도입국 자녀는 32.9%이며, 일자리·직업기술 훈련에 대한 서비스 지원 요구가 많다고 보고하였다. (2012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원자료 분석, 여가부)

국제결혼 재혼 가정의 어머니를 따라 입국하는 중도입국 자녀와 불법 체류자 가정에서 출생하는 무국적 자녀는 정확한 수를 확인하기조차 어렵다. 이외에도 난민가정의 자녀에 대한 지원 부분이다. 한국은 1994년부터 난민신청을 받기 시작했으며, 2001년 최초로 난민을 인정하였다. 국제결혼 가정으로 한정되었던 다문화 가정의 특성과 배경이 점차 다양해지고 그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며 다문화가족지원정책 시행 10년을 맞이하여 제12차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에서는 다문화가족 자녀 성장에 대비한 성장주기별 자녀 지원 대책 필요함을 강조하고 지원방향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다문화자녀지원 정책의 철학과 컨트롤타워가 부재한 상황이고 정치적 상황에 따라 정책과 예산이 고무줄처럼 변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부분은 다문화자녀지원 정책 관련 시스템의 혼돈을 야기하며, 정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다문화가족 자녀의 유형에 따른 대상별 특성을 간과하고 있다.

다문화가족 자녀를 글로벌인재로 키우자고 하는 데는 누구나 동의하고 이의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수도권을 제외하고 이주민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우리 경남의 교육기관에서부터 다문화적 배경을 지닌 자녀들의 대상별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맞춤형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부모세대의 사회자본의 격차가 자녀세대에게 성장과정에서 겪는 각종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평화로운 미래사회를 위해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편견과 차별에 대한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미래세대의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지원기관 간의 벽도 허물고 좀 더 열린 마음으로 가정·학교·지역사회가 연대하여야 하여야 할 것이다.

(칼럼)승해경-경상남도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_택

글로벌인재를 위하여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글로벌인재를 위하여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목록
TOP